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년 최저임금 시급 및 연봉 실수령액 확인해보기

올해 최저임금이 상승했으나, 최근 2년 사이 최저임금 상승률은 약 7%정도이며,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거의 비슷합니다. 즉, 실질 임금은 오히려 줄어들었다는 것입니다. 최근 금리 인상으로 고물가를 잡고 있지만, 실제로는 서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다는 사실은 알디시피 부인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 최저임금이란?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의 최저 임금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기본적인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 근로자와 사업주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또한, 최저임금제는 소득 양극화를 방지하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이루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구분
시급
월급
2023년
9,620원
(2022 대비 5.0% 인상)
2,010,580원

▲시급확인표

최근 대한민국에서는 최저임금이 전년 대비 5% 상승하여 시급 9,6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법상 주 40시간 근무로 계산한 월급은 2,010,580원 이상을 지급해야 합니다. 또한, 정기 상여금은 월 환산액의 5%를 초과한 금액, 복리후생비는 1%를 초과한 금액이 최저임금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수습 기간이 3개월 이내인 경우 최저임금의 10%를 감액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습 기간이어도 근로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패스트푸드점 등 단순 노무직 근로자는 이러한 감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자가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 만약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상승도표

▲위에 도표를 보게 되면 연도별 최저임금의 상승률을 확인이 가능하며 대체로 최저임금은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조절되며, 최근 몇 년간에는 최저임금 인상률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시급-임금계산기연봉-임금계산기

▲네이버 최저시급계산기를 활용하면 주어진 근무 시간에 따라 최저시급을 기반으로 임금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 후 주휴 시간 8시간을 포함하여 총 49시간으로 계산할 경우, 2023년 최저시급 기준으로 주급이 461,700원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이는 최저시급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실제로는 이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일자리가 많습니다.

 

2023.02.20 - [생활정보] - 2023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검사 항목, 참고 및 주의사항

 

2023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검사 항목, 참고 및 주의사항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진단 검사는 연도의 끝자리에 따라서 격년으로 실시됩니다. 작년에는 해당 연도가 아니라서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드리지 못했었는데, 이번에는 홀수 연도가 돌아왔기 때

sesang-mansa.tistory.com

▲혹시 검강검진 대상자가 궁금하다면 위에 포스팅을 참고부탁드립니다.

연봉 실수령액 확인해보기

▲임금이나 연봉을 계산할 때에는 다양한 공제 항목들이 적용되어 실수령액이나 실직 후 수급액 등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근로자의 소득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 보험료와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이 공제됩니다. 연봉 2500만 원 기준으로 이러한 공제 항목들을 제외하면, 실제로 수령할 수 있는 금액은 약 1,863,200원 정도가 됩니다.

도표출처 : https://job.cosmosfarm.com/ko/calculator/salary

 

▲연봉 4,000만 원을 넘어서면 고액 연봉자로 분류되어, 공제 항목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부터는 월 수입이 실수령액 300만 원대까지 크게 감소하게 됩니다.

▲도표를 보면, 연봉 6,000만 원을 받았을 때 실제 수령액이 400만 원이 된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세금, 사회보험 등의 공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고소득자 구간으로 가면 연봉이 1억원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실제 수령액은 세금이나 사회보험료 등을 공제한 후 650만 원 정도 됩니다. 연봉으로 월 천만 원을 받으려면, 약 1억 8천만 원 이상의 연봉을 받아야합니다. 이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해당 수준의 연봉을 받으려면 높은 학력과 전문성, 경험 등이 요구가 되는데 저도 월급을 1000만원씩 한달에 벌고 싶네요. ㅠㅠ

하지만 현재 국내 고용시장은 불황이 지속되고 있어,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최근 취업자 중에는 단기 근로자 비중이 높아지고, 안정적인 정규직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상으로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시행되는 최저시급과 최저임금을 살펴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