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진단 검사는 연도의 끝자리에 따라서 격년으로 실시됩니다. 작년에는 해당 연도가 아니라서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드리지 못했었는데, 이번에는 홀수 연도가 돌아왔기 때문에 더 자세한 내용을 포스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3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건강검진은 매우 중요하며,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을 비교해 보면 심 뇌혈관계 질환(심근경색, 뇌졸중 등) 사망률이 42% 감소하며, 심 뇌혈관계 질환 발생률도 18% 감소한다는 발표가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건강검진 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세대주
- 직장가입자
-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 20세에서 64세까지의 의료급여수급권자
건강검진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가입자는 주민등록 주소지로 우편 발송해 드립니다. 공단에 실거주지 등록이 되어 있거나,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경로로 발송해 드립니다.
- 직장피부양자는 주민등록 주소지로 우편 발송해 드리며,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경로로 발송해 드립니다.
- 의료급여수급권자는 주민등록 주소지로 우편 발송해 드립니다.

일반 검진은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검진입니다. 일반 검진은 진찰, 상담,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시력, 청력, 혈압측정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만과 이상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검진은 모두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적극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암은 매우 위험한 질병 중 하나이기 때문에, 40세 이상의 모든 남녀는 증상이 없더라도 매 2년마다 위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위내시경 검사가 어렵다면, 대신 위장조영검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암 발생 위험이 높은 40세 이상의 남녀 중 다음과 같은 대상자는 상반기와 하반기에 1회씩 간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간경변증이 있는 사람
- 길게 먹거나 많이 마시는 습관이 있는 사람
- B형 혹은 C형 간염 환자
- 유전적인 간암 발생 위험이 높은 가족이 있는 사람
또한, 50세 이상의 모든 남녀는 1년마다 대장암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분변장혈검사를 받은 후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들에 한해 대상 내시경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암은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위내시경 검사, 간 초음파 검사, 대장암 검진 등의 검진을 꾸준히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폐암은 매우 위험한 질병 중 하나이며, 따라서, 54세~74세 이상의 모든 남녀 중 폐암 발생 위험이 높은 아래 대상자는 2년마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사 후에는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와 상담을 진행하여 추가적인 검사 및 조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여성 암 검진에는 유방암 검진과 자궁경부암 검진이 포함됩니다. 40세 이상의 여성은 매 2년마다 유방촬영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20세 이상의 여성은 매 2년마다 자궁경부 세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가족력이 있거나 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 40세 이전에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 추가 비용을 내고 위·대장 내시경을 선택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위내시경 검사는 10만 원 이내의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합니다.
2023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방

2023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는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의 건강in > 검진대상조회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또한 해당 연도에는 별도의 안내문이 발송되며,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검진 대상 조회가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본인이 검진 대상자인지 확인한 후 지역별 건강검진 가능 병원을 찾아서 예약하시면 됩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도 지역별 건강검진 가능 병원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바로가기 = > https://www.nhis.or.kr/nhis/healthin/wbhaca04500m01.do
일반건강검진 < 건강검진 실시안내 < 건강검진정보 < 나의건강관리 < 건강iN | 국민건강보험
일반건강검진 대상자 : 지역세대주, 직장가입자, 20세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20세~64세 의료급여수급권자 지역가입자는 주민등록 주소지로 우편 발송해 드립니다. 공단에 실거주지 등록이 되어
www.nhis.or.kr
건강검진시 참고 주의할 점
정확한 검사 결과를 위해 건강검진 전날 저녁 9시 이후부터는 금식을 권장하며, 검진 당일 아침에는 물, 커피, 우유, 담배, 주스, 껌 등 일체의 음식을 삼가야 합니다. 검진 예약 시 되도록이면 오전에 예약하는 것이 좋으며, 오후에 검진을 받을 경우 검사 최소 8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위·대장 내시경을 받을 경우 별도의 안내에 따라 금식을 해야 합니다.
검진 시 작성해야 하는 문진표는 병원에서 작성하면 되므로, 금식 시간만 잘 지켜주시면 됩니다. 연말에는 검진자가 많아지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연초에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검사 시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익한 정보였기를 바라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취해소에 좋은 차 모음 (0) | 2023.03.02 |
---|---|
화면 밖으로 나간 창 이동시키기 초간단해결 방법 (0) | 2023.02.21 |
신용등급점수표와 신용등급 중요부사항요약 (0) | 2023.02.21 |
2023년 최저임금 시급 및 연봉 실수령액 확인해보기 (0) | 2023.02.21 |